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 학술 정보실
  • 발굴조사보고서

大邱 泗水洞 563番地 遺蹟 (대구 사수동 563번지 유적)

책수 : 8
발행일 : 2012. 8. 13
발행기관 :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569
규격 : A4(210 X 297mm)
조사위치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563번지 일원
조사면적 : 64,746㎡
조사연유 : 택지 개발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 김창억, 진성섭, 이동욱, 남익희, 송상우, 최지혜,
집필,편집 :김창억, 진성섭, 이동욱, 서경민, 최지혜, 최유라, 김지은

개요


 본 유적은 원삼국시대의 목관묘,옹관묘, 삼국~통일신라시대의 석곽묘, 석실묘, 옹관묘 등의 분묘유구, 삼국시대의 토기가마, 고려시대의 기와가마 등의 생산유구, 조선시대의 수혈주거지, 고상식 건물지 등의 생활유구 등 여러시대에 걸쳐 다양한 유구들이 조영된 복합유적이다. 

 유적은 청동기시대 생활유적, 원삼국시대 분묘유적,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 분묘유적 및 생산유적, 조선시대의 생활유적 및 생산유적 등이 확인된 복합유적이다. 본 유적이 위치한 금호강변 일대는 선사시대를 비롯한 근대에 이르기까지 대구 팔달동유적, 대구 금호동고분군, 대구 매천동유적, 대구 구암동고분군 등 다양한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므로 금호강변 일대의 고대~근대의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유물 종별

시대

유형 및 기수

중요유물

D 구역

생활유적

청동기시대

수혈 1

무문토기 구연부편

분묘유적

원삼국시대

목관묘 15

옹관묘 2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

주머니호, , 장동옹 등

분묘유적

생산유적

삼국~

통일신라시대

석곽묘 27

석실묘 1

옹관묘 2

토기가마 1

고배, 유개고배, 단경호,

대부장경호,부가구연장경호,

양이부호, 재갈, 철부, 철겸,

철도자, 철촉, 이식 등

생활유적

생산유적

조선시대

주거지 2

우물 3

삼가마 1

수혈 41

야외노지 6

33

주혈 76

분청자 접시, 백자접시,

암키와, 수키와, 어망추

E 구역

분묘유적

삼국시대

옹관묘 1

장동옹

생활유적

생산유적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 3

주거지 1

토광묘 5

고상식건물지 8

수레바퀴흔 3

와적유구

수혈 36

야외노지 6

10

주혈 180

청자저부편, 분청자 발,

분청자 접시, 백자발,

백자접시, 암키와, 수키와,

파수부옹, 시루편, 어망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