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 학술 정보실
  • 발굴조사보고서

大邱上洞 348-16番地 遺蹟 (대구 상동 348-16번지 유적)

책수 : 13
발행일 : 2013. 2. 28
발행기관 :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208
규격 : A4(210 X 297mm)
조사위치 :대구광역시 수성구 상동 348-16번지 일원
조사면적 : 1,319㎡
조사연유 :도로 확·포장공사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김창억, 진성섭, 조성현, 송상우, 양승기, 최지혜, 김영철
집필,편집 :김창억, 진성섭, 송상우, 서경민, 양승기, 이윤경

개요


 본 유적은 통일신라시대에 해당하는 수혈, 고려~조선시대에 해당하는 건물지,삼가마(돌굿유구), 도로 등 총 31기의 유구 및 주혈 7개가 조영된 생활유적이다. 또한 통일신라시대 수혈에서 인화문 개, 고려시대 건물지에서 어골문 타날기와, 삼가마(돌굿유구)에서‘大’자명 문자기와, 수혈에서 청자병 등 총 94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유구들은 유적 전반에 걸쳐 조성되었으나 후대의 삭

평 및 교란으로 인해 잔존상태가 불량하여 정확한 규모와 배치는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주변유적의 조사

결과를 참고할 때 본 유적도 당시 사람들에 의해 꾸준히 생활터전으로 이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

히 건물지, 삼가마(돌굿유구), 1호 도로, 4호 집석, 14호 수혈 등을 통해 볼 때, 이 지역의 중심연대는 고려시대임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은 청자해무리굽완과 청자병, 청자호, 청자잔 등의 청자류와 기와류가 대다수인데, 분석해 본 결과 그 연대는 고려~조선 전시기에 걸쳐 있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생활유적

통일신라시대

수혈2기

인화문개,평기와 등


고려시대

건물지 1동,삼가마(돌굿유구) 1기,도로1기,집석1기,수혈2기,주혈6개

청자해무리금완, 청자병,전호,평기와 등

고려~조선시대

도로1기,집석3기,수혈17기,주혈1개

백자저부편,평기와 등

조선시대

 구1기,수혈1기

분청자저부편,백자저부편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