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 학술 정보실
  • 발굴조사보고서

金泉 雲水里 104番地 遺蹟 (김천 운수리 104번지 유적)

책수 : 41
발행일 : 2015. 11. 17
발행기관 : 재단법인 세종문화재연구원
페이지수 : 281
규격 : A4(210 X 297mm)
조사위치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104번지 일원
조사면적 : 5,520㎡
조사연유 : 공원 조성에 따른 구제발굴
발굴조사자 : 김창억, 진성섭, 송상우, 서경민, 김민철, 김지은, 윤선영, 유재동, 신석원
집필,편집 : 김창억, 진성섭, 송상우, 서경민, 김민철, 김지은, 윤선영, 장성희, 주홍규

개요


 본 유적은 본 유적에서는 삼국시대 수혈 4기, 기와가마 3기·배수구 1기·폐기장 1기·작업장 2기, 고려~조선시대 수혈 13기·주혈 20개 총 총 44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개편, 고배편, 파수부편, 인화문토기 병편, 청자 저부편, 분청자 저부편, 백자 저부편, 수키와, 암키와 등 총 189점이 출토되었다.

 삼국시대 수혈은 총 4기가 조사되었다. 유구 내부에서는 고배 배신부편, 고배 대각편, 단각고배 대각

편, 파수부편이 출토되었는데, 연대는 대체로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대로 판단된다.

고려~조선시대 유구로는 기와가마 3기, 배수구 1기, 작업장 2기, 그리고 채토용으로 조성된 수혈을

포함한 수혈 13기, 주혈 20개가 조사되었다. 기와생산과 관련된 일련의 유구들은 원료인 점토의 채취부터 성형, 건조, 소성에 이르는 기와제작의 전 과정을 알 수 있는 유적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향후 김천지역 일대의 기와생산유적 발굴 자료가 증가하여 본 유적과 동일한 구조의 기와가마 연구에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분묘유적

삼국시대

수혈 4

고배편, 파수부편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 3

상감청자 저부편,

수키와, 암키와

배수구 1

암키와

폐기장 1

상감청자 저부편,

수키와, 암키와

작업장 2

암키와

수혈 13

수키와, 암키와

주혈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