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정보실
발굴조사보고서
大邱 三德洞 山9-4番地 遺蹟 (대구 삼덕동 산9-4번지 유적)
개요
본 유적은 삼국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생산·분묘·생활유구가 확인된 종합유적이다. 다만 유구와 유물의 수가 적어 전체적인 구조나 세부적인 조성연대를 특정하는 데는 어려움은 있다. 그러나 유적 북쪽의 금호강 유역에 입지하는 유적과 동쪽의 시지 유적에 비해 발굴성과가 적은 지역으로, 이 일대에서 생활한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고 판단되고,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확보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대구 지역에서 조사 사례가 드문 목탄요가 확인되어 그 자료를 확보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구종별/시대/유형및기수/중요유물/특기사항
분묘·생산· 생활유적 | 삼국시대 | 석곽묘 1기 목탄요 1기 | 대부완 |
조선시대 | 토광묘 6기 수혈 7기 | 백자 접시, 청동완, 청동숟가락, 관정, 호 저부편 | |
시대미상 | 석렬 1기 구 3기 야외노지 1기 | 이단투창고배, 청자 발 |